대구 출신의 서양화가 한정욱의 개인전이 2012년 11월 22일부터 12월 10일까지 갤러리 신라에서 개최됩니다. 한정욱은 1961년 대구생으로 1986 홍익대학교와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갤러리 현대(1992), 그리고 최근에는 Gallery H, 서울(2012) 등에서 개인전을 가졌다.

직접 체험한 산과 계곡의 풍경을 심중의 눈으로 재해석하여 그 느낌과 기운들을 다시 캔버스에 몸으로 풀어 담아내는 작업을 하고 있다. “심상의 풍경” 즉 “마인드 스케이프” 불리우는 한정욱의 작업은 붓 대신에 자신의 손가락이 중심이 된 액션페인팅 기법을 구사하며 자신만의 푸른빛 명상적 공간을 만들어낸다.

그의 그림은 순수한 행위의 결과물이다. 열개의 손가락 중 중심이 되는 손가락은 이미지를 연상시킬 수 있는 뼈대를 만들지만 나머지 뒤 따라오는 손가락은 그런 뼈대의 큰 줄기를 해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앞선 손가락이 이미지 구축을 위한 움직임을 위한다면 뒤 따라오는 손가락은 이미지의 해체를 위한 움직임이라고 보면 된다. 그래서 그의 그림이 가까이서 보면 추상이지만 거리를 두면서 다양한 풍경을 노출하게 되는 것이다. 관객의 경험과 각도에 따라서 산이 되기도 하고 바다가 되기도 하고 구름이 되기도 하는 이유 역시 작가가 특정한 이미지로 구축될 수 없도록 해체의 장치를 마련했기 때문이다. 이는 결국 다양한 이미지와 해석을 통해 한정욱의 그림 속 풍경의 레이어를 풍성하게  만드는 결과가 된다.

그의 작품에서 우선 눈에 띄는 것은 이미지의 파괴다. 이미지가 사라진 자리에 그 대신 이미지를 받아들이고 체계적으로 분류하던 프레임만이 남아 있을 수도 있는데 이것은 미니멀 아트의 대표적 특성이다. 한정욱의 경우는 이성적인 시각을 처음부터 배제하려 했으므로 이러한 프레임이 무의미하다. 그가 받아들이려 하는 것은 이성적인 시각에 의해 배제되어 왔던 노이즈라는 영역이다. 그 노이즈를 그대로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몸의 세포 속에 저장하였다가 이들 노이즈가 숙성, 배양되어 포화상태가 된 몸을 화면 위에 개운하게 토악질을 해내는 듯한 행위가 그의 작업 프로세스가 되겠다.

그가 사용하는 물감은 프루시안 블루(Prussiam Brue), 안스라퀴논 블루(Anthraquinone Blue), 울트라마린 블루(Ultramarine Blue), 코발트 블루(Cobalt Blue), 프탈로 블루(Phthalo Blue), 세룰리안 블루 딥(Cerulean Blue Deep) 등 투명도가 높은 푸른 색 계통뿐이어서 노이즈가 지닌 불투명한 에너지를 어느 정도 제어되고 있다. 그리고 그 푸른 색 물감덩어리는 선으로 이어진다. 선이라곤 하나 사실은 짧게 끊어진 스트로크에 더 가깝다. 이는 지두화가 가지는 물리적인 조건의 자연스런 순응이 되겠다. 조형의 요소인 점, 선, 면 중에서 점은 신체가 틈입할 수 없는 영역, 그리고 면은 신체가 직접 맞닥뜨릴 수 있는 영역의 바깥이라면 선은 신체의 궤적을 그대로 그러내는 차원이다. 신체성이 가장 잘 드러나는 조형요소인 셈이다. 스트로크를 구사함으로써 몸이 받아들인 기운을 몸의 능력으로 솔직하게 표현하겠다는 작업과정의 일관성을 작가는 유지하고 싶어 한다. 푸른 색 일변도의 스트로크는 화면에 깊이와 투명도를 담보하면서 그의 몸에 가득 찬 불투명한 에너지의 노이즈를 토악질하는 행위에서 멈추는 것이 아니라, 보다 밝고 더 열린 세계로 나아가려는 암시를 보여주고 있다. 플래쉬가 터질 때마다 그의 작품명(Slowness)처럼 느린 속도로 오랜 시간 충전되었던 에너지가 무한허공으로 방전되듯, 노이즈의 토악질이 참회이고 구원이 되는 순간이라 하겠다.

이번 갤러리신라의 전시에서는 느림, 입산, 자영본(Nature-Spirit-Instinct)시리즈 등 신작 다수가 전시됩니다.

English

A solo exhibition by Han Jung Wook, a Western-style painter from Daegu, will be held at Gallery Shilla from November 22nd to December 10th, 2012. Han Jung Wook was a student in Daegu in 1961 and graduated from Hongik University and its graduate school in 1986. He had solo exhibitions at Gallery Hyundai (1992) and recently at Gallery H, Seoul (2012).

I am working on reinterpreting the landscapes of mountains and valleys I have personally experienced with the eyes of my heart and expressing those feelings and energy on the canvas with my body. Han Jung Wook's work, which is called "landscape of imagery" or "mindscape," creates his own blue meditative space by making full use of the action painting technique centered on his fingers instead of a brush.

His paintings are the result of pure action. Among the ten fingers, the central finger creates a skeleton that can evoke images, but the rest of the following fingers play a role in dismantling the large stem of the skeleton. If the preceding fingers are for movement to construct an image, the following fingers are for movement to dismantle the image. That is why, although his paintings are abstract when viewed up close, various landscapes are exposed at a distance. Depending on the viewer's experience and angle, the reason why it becomes a mountain, an ocean, or a cloud is also because the artist has prepared a device for deconstruction so that it cannot be built into a specific image. Ultimately, this results in enriching the layers of scenery in Han Jung Wook's paintings through various images and interpretations.

The first thing that stands out in his works is the destruction of images. In the place where the image disappears, only the frame that accepts the image and systematically classifies it may remain, which is a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 of minimal art. In the case of Han Jung Wook, this frame is meaningless because he tried to exclude rational views from the beginning. What he is trying to accept is the realm of noise that has been excluded by rational perspective. Rather than reproducing the noise as it is, it is stored in the cells of the body, and then the noise is matured and cultured to vomit the body, which has become saturated, on the screen.

The paints he uses are Prussian Blue, Anthraquinone Blue, Ultramarine Blue, Cobalt Blue, Phthalo Blue, Cerulean Blue Deep (Cerulean Blue Deep) and other high-transparency blue systems, so the opaque energy of noise is controlled to some extent. And the blob of blue paint leads to a line. Although it is a line, in fact, it is more like a short cut stroke. This will be a natural adaptation to the physical conditions of Ji Du-hwa. Among the points, lines, and planes, which are elements of formative art, a point is an area that the body cannot enter, and a plane is outside the area that the body can directly encounter. It is the formative element that reveals the physicality the most. The artist wants to maintain the consistency of the work process, which is to honestly express the energy the body has received using strokes with the body's ability. The blue one-sided strokes do not stop at the act of vomiting up the noise of opaque energy that fills his body, while ensuring depth and transparency on the screen, but suggest that he is moving toward a brighter and more open world. Every time the flash explodes, just as the energy that has been charged for a long time at a slow speed, like the name of his work (Slowness), is discharged into the infinite void, it can be said that the vomiting of noise is a moment of repentance and salvation.

In this exhibition of Gallery Shilla, several new works such as Slow, Ipsan, and Nature-Spirit-Instinct series will be display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