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인식

Quac In Sik


곽덕준

Kwak Duckjun


곽훈

Kwak Hoon


이번 전시는 2017년 갤러리 신라의 곽인식 개인전 이후 개최하는, 한국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작가들을 재조명하는 전시의 일환입니다. 한국 출신이라는 같은 뿌리를 둔 이 3인의 작가들이 서로 다른 지리적인 공간속에 거주하면서도 1979년을 기점으로 각각 어떤 변화의 계기를 찾게 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합니다. 1970-8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전시되는 이번 전시는 곽인식, 곽덕준, 곽훈 연구자들과 협업하여 개최하는 전시입니다.

곽인식, 곽덕준, 곽훈은 모두 한국 출신의 작가로 각각 일본과 미국에 체류하면서,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실험하는 한편, 각자 고유한 미술 표현의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주목을 받아 온 작가들입니다. 최근 탄생 100주년을 맞이해 국내외 미술계에서 재조명되고 있는 대구 출신의 미술가 곽인식(1919-1988)의 작품과 재일교포 2세인 곽덕준(1937- )의 이중의 정체성을 극복한 보편적인 개념미술 작품, 그리고 곽훈(1941- )이 미국 체류시절에 선보인 이방인으로서의 타자화와 자기 객관화를 통해 한국의 전통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작품들의 미술사적 의의를 고찰해 보는 전시입니다.

이들 3인의 작가와 작품을 통해 동시대 대구와 일본, 그리고 미국의 현대미술의 연결고리를 재고해 보고자 합니다. 1979년부터 급격히 변화하기 시작한 이들 3인의 작품세계와 1970-80년대의 시대적 상황과 예술세계를 통해 지난 40여 년간 우리나라의 현대미술이 지나온 시간들을 되돌아보고자 합니다. 이번 전시를 통해 앞으로 한국의 현대미술이 나아가야 할 다양한 방향과 그 해석의 가능성을 제시해 볼 수 있는 전시가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English

This exhibition is part of an exhibition that sheds new light on the representative artists of Korean contemporary art, held after Insik Quac's solo exhibition at Gallery Shilla in 2017. Let's take a look at how these three artists, who have the same roots as those from Korea, found an opportunity for change from 1979, even though they live in different geographic spaces. This exhibition, which focuses on works from the 1970s and 1980s, is held in collaboration with researchers Quac In Sik, Kwak Duckjun, and Kwak Hoon.

Quac In Sik, Kwak Duckjun, and Kwak Hoon are all Korean-born artists who have experimented with their identity as Koreans while staying i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respectively, while presenting their own unique paradigms of artistic expression. The works of Quac In Sik (1919-1988), an artist from Daegu, which are being re-examined in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art world in celebration of the recent 100th anniversary of his birth, universal conceptual art works that overcome the dual identity of Kwak Duckjun (1937- ), a second-generation Korean-Japanese, and Kwak Hoon ( 1941- ) is an exhibition that examines the art-historical significance of works that reinterpreted Korean tradition in a modern way through objectification as a stranger and self-objectification, which were presented during his stay in the United States.

Through these three artists and their works, we would like to reconsider the connection between contemporary art in Daegu, Japan, and the United States. I would like to look back on the past 40 years of Korea's contemporary art through the three artists' world of art, which began to change rapidly from 1979, and the historical situation and art world of the 1970s and 1980s. Through this exhibition, we expect that it will be an exhibition that can present the various directions that Korean contemporary art should take in the future and the possibility of interpretation.